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
논어 제2편 위정 - 22,23,24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38
논어 (슬기바다 #01) (77~79쪽) 논어 2. 위정 2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에게 신의가 없으면 그 쓸모를 알 수가 없다. 만일 큰 수레에 소의 멍에를 맬 데가 없고 작은 수레에 말의 멍에를 걸 데가 없으면 어떻게 그것을 끌고 갈 수 있겠느냐?" Lucy best 23. 자장이 여쭈었다. "열 왕조 뒤의 변화를 알 수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슴하셨다."은나라는 하나라의 예절과 법도를 따랐으니, 거기에서 보태거나 뺀 것을 알 수 있고, 주나라는 은나라의 예절과 법도를 따랐으니 거기에서 보태거나 뺀 것을 알 수 있다. 그 누군가 주나라를 계승하는 자가 있다면 백 왕조 뒤의 일이라 할지라도 알 수 있을 것이다." 2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가 모셔야 할 귀신이 아닌데도 그를 제사지내는 것..
-
논어 제2편 위정 - 19,20,21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34
논어 (슬기바다 #01) (71~73쪽) 논어 2. 위정 19. 애공이 여쭈었다. "어떠게 하면 백성들이 따릅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그릇된 사람의 위에 놓으면 백성들이 따르고, 그릇된 사람을 등용하여 정직한 사람의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습니다. "Lucy best 20. 계강자가 물었다. "백성들이 윗 사람을 공경하고 진심으로 따르며 열심히 일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위엄 있는 태도로 대하면 백성들이 공겅하게 되고, 부모님께 효도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면 진심으로 따르게 되며 능력 있는 사람을 등용하여 부족한 사람을 가르치도록 하면 백성들은 열심히 일하게 된다. 엄마 best 21. 어떤 사람이 공자에게 말했다. " 선생께서는 ..
-
논어 제2편 위정 - 16,17,18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32
논어 (슬기바다 #01) (74~76쪽) 논어 2. 위정 1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단을 공부하는 것은 해로울 뿐이다. " 1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야 너에게 안다는 것에 대해 가르쳐 주랴?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는 것이다. " Lucy best 18. 자장이 출세하는 방법을 배우려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많은 것을 듣되 의심스러운 부분은 빼놓고 그 나머지를 조심스럽게 행하면 후회하는 일이 적을 것이다. 말에 허물이 적고 행동에 후회가 적으면 출세는 자연히 이루어진다." 엄마 best (번갈아 음독하기 -> 묵독하며 베스트 구절 찾기 -> 이야기 나누기) > 내 교훈 : 정직한 내가 되자. 엄마 교훈 : 말 적게하고 후회없이 행동하자. > 마주..
-
논어 제2편 위정 - 13,14,15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30
논어 (슬기바다 #01) (68~70쪽) 논어 2. 위정 13. 자공이 군자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란 말보다 앞서 행동을 하고 그 다음에 그에 따라 말을 한다." 1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여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당파를 이루지는 않고, 소인은 당파를 형성하여 여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Lucy best 1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막연하여 얻는 것이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엄마 best (번갈아 음독하기 -> 묵독하며 베스트 구절 찾기 -> 이야기 나누기) 엄마 : 루시는 왜 그 구절이 좋았어? 루시 : 응 왜냐하면 내가 회장이 되었잖아. 그러니까 여러 친구들과 벽을 치지 말고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
-
논어 제2편 위정 - 10,11,12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28
논어 (슬기바다 #01) (65~67쪽) 논어 2. 위정 10.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그 사람이 하는 것을 보고, 그 동기를 살펴 보고, 그가 편안하게 여기는 것을 잘 관찰해 보아라. 사람이 어떻게 자신을 숨기겠는가? 사람이 어떻게 자신을 숨기겠는가?" 엄마 best 1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스승이 될만하다. " 1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그릇처럼 한가지 기능에만 한정된 사람이 아니다." Lucy best (번갈아 음독하기 -> 묵독하며 베스트 구절 찾기 -> 이야기 나누기) 엄마 : 루시는 왜 그 구절이 좋았어? 루시 : 응, 왜냐하면 군자는 한가지 기능에만 한정된 그릇이 아니라고 했잖아. 하나의 그릇은 그 만큼만 담을 수 있지만 군자는 그러면 안되는..
-
논어 제2편 위정 - 7,8,9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26
논어 (슬기바다 #01) (49~51쪽) 논어 2. 위정 7. 자유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즘의 효라는 것은 부모를 물질적으로 봉양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개나 말조차도 모두 멱여 살리기는 하는 것이니,공경하지 않는다면 짐승과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8. 자하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항상 밝은 얼굴로 부모를 대하는 일이 어렵다. 일이 있을때는아랫사람이 그 수고로움을 대신하고, 술이나 음식이있을때는 윗사람이 먼저 드시게 하는 것을 가지고 효도라고 할 수 있겠느냐?" Lucy best 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안회와 함께 하루종일 이야기를 해도 그는 어리석은 사람처럼 아무런 문제제기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뒤에 그가 생활하는 것을 보니, 또한 그 내용..
-
논어 제2편 위정 - 4,5,6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12
논어 (슬기바다 #01) (49~51쪽) 논어 2. 위정 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살에 세계관을 확립하였으며, 마흔 살에는 미혹됨이 없게 되었고 쉰살에는 하늘의 뜻을 알게 되었으며, 예순 살에는 무슨 일이든 듣는대로 순조롭게 이해했고 일흔살에는 마음 가는 대로 따라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 " 엄마 best 5. 맹의작 효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을때 공자께서 그에게 그 일을 말씀하셨다. "맹손씨가 나에게 효에 대해 묻기에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살아계실때에는 예의를 갖추어 섬기고, 돌아가신 후에는 예법에 따라 장례를 치르고 제사를 지내라는 것이다." 6. 맹..
-
논어 제2편 위정 - 1,2,3엄마가 된다는 것/2020 논어 2020. 3. 10. 21:10
논어 (슬기바다 #01) (43~45쪽) 논어 제2편 위정 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덕으로 정치를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북극성은 제자리에 있고 모든 별들이 그를 받들며 따르는 것과 같다. 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경에 있는 삼백 편의 시를 한마디로 이야기하자면 '생각이 거짓됨이 없다'는 것이다." 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들을 정치로 인도하고 형벌로 다스리면 백성들은 형벌을 면하고도 부끄러워함이 없다. " 그러나 덕으로 인도하고 예로써 다스리면, 백성들은 부끄러워할 줄도 알고 또한 잘못을 바로잡게 된다. Lucy, 엄마 공동 best (번갈아 음독하기 -> 묵독하며 베스트 구절 찾기 -> 이야기 나누기) > 내 교훈 : 법보다는 덕과 예로 나 자신을 다스리겠다. 엄마 교훈 : 양심에 부끄럽..